To Do

  • CreateAccount
  • ConfirmSecret
  • @client Mutation  

 

1. CreateAccount

계정을 만들기 위해선 우선 Query를 만들어야합니다. 저는 Qeury를 Auth/AuthQueries.js에 작성하고 있습니다.

Auth/AuthQueries.js

(...중략...)

export const CREATE_ACCOUNT = gql`
  mutation createAccount(
    $email: String!
    $username: String!
    $firstName: String!
    $lastName: String!
  ) {
    createAccount(
      email: $email
      username: $username
      firstName: $firstName
      lastName: $lastName
    )
  }
`;

(...중략...)

Query를 만들었다면 AuthContainer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제가 만든 것은 Mutation이기 때문에 mutation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react-apollo-hooks 에서 사용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useMutation을 사용하고 variables로 인자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Auth/AuthContainer.js

(...중략...)

  const createAccountMutation = useMutation(CREATE_ACCOUNT, {
    variables: {
      email: email.value,
      username: username.value,
      firstName: firstName.value,
      lastName: lastName.value
    }
  });
  
(...중략...)

전달 하는 variables를 주의해서 봐야할 것 같습니다. 회원가입을 할 경우 4개의 input에 입력한 value를 사용해서 회원가입을 하게 되는데, 그 때 input의 value를 가져오기 위해 useStat를 이용해 useInput이라는 Hook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서 useInput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만 하도록 하겠습니다.

Hooks/useInput.js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defaultValue, type = "text")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defaultValue);

  const onChange = e => {
    const {
      target: { value }
    } = e;
    setValue(value);
  };
  return { value, onChange, type };
};

useinput에는 input 에 사용될 defaultValue와 input의 type을 입력받습니다. 또한 input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을 알기 위해 onChange라는 메소드도 만들어 놓습니다.

const onChange = e => {
    const {
      target: { value }
    } = e;
    setValue(value);
  };

이 부분을 보게 되면 e라는 이벤트를 받게 됩니다. e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e { 
  target : {
    value : {???}
    }
  }

여기서 value가 input의 value를 뜻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e.target.value를 변경시켜주면 input의 value가 변경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함수를 작성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const {
      target: { value }
    } = e;

이제 useInput을 사용해서 회원가입 form 이 제출될 경우 prisma에 회원가입을 요청하고 error처리를 해야합니다. 아래 코드는 회원가입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하는 submit 부분입니다.

Auth/AuthContainer.js

 const onSubmit = async e => {

(...중략...)

else if (action === "signUp") {
        console.log("singUp");
        if (
          email.value !== "" &&
          username.value !== "" &&
          firstName.value !== "" &&
          lastName.value !== ""
        ) {
          try {
            const { data: createAccount } = await createAccountMutation();
            if (createAccount) {
              toast.success("Success createAccount!! ");
              setTimeout(() => {
                setAction("logIn");
                email.value = "";
              }, 2000);
            }
          } catch (e) {
            toast.error(e.message);
          }
        }
      } 
      
(...중략...)
}

Input이 비어있지 않다면 위에서 만들었던 createAccount()를 실행시키게 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점은 await로 prisma의 응답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onSubmit함수에 async await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response가 오기전에 다음 코드를 진행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await에 실패했을 경우 catch를 동작하고 await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toast로 성공 메세지를 띄어주고 setAction()으로 보여주는 화면을 전환 해줍니다.

한가지 의문이 있다면 이렇게 Action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보여지는 page를 변경시켜준다면 새로고침을 할경우 데이터가 날라가게 되는데 주소에 /signUp을 사용하는 방식이 좋은지 `setAction(‘signUp’)이 좋은지는 추가적으로 공부해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onfirmSecret

confirmSecret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 Queries에 Mutation만들기
export const CONFIRM_SECRET = gql`
  mutation confirmSecret($secret: String!, $email: String!) {
    confirmSecret(secret: $secret, email: $email)
  }
`;

confirmSecretemailsecret을 argument로 받습니다. 혹시 까먹었다면 아래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age

signUp을 했던 방식과 똑같이 Container에서 불러와 사용합니다. 사용할 때는 useMutation을 사용하겠죠.

const confirmSecretMutation = useMutation(CONFIRM_SECRET, {
    variables: {
      email: email.value,
      secret: secret.value
    }
  });

그 다음은 인증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하는 onSubmit함수에서 현재 Action이 confirm이면 실행을 해야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작성해줍니다.

(...중략...)

 else if (action === "confirm") {
        try {
          const { data: confirmSecret } = await confirmSecretMutation();
          console.log(confirmSecret);
          if (confirmSecret) {
            toast.success("Success confirm secret!! ");
          } else {
            toast.error("Paste your correct scret!!");
          }
        } catch {
          toast.error("Paste your correct scret!!");
        }
      }
      
(...중략...)

위 코드에서도 보다시피 await를 사용해서 동기방식으로 기다린 후에 data의 confirmSecret을 confirmSecret변수에 집어 넣습니다. 변수의 상태에 따라서 토스트 메세지를 보여줍니다.
지금과 같은 경우는 confirmSecret의 return 은 token이기 때문에 이제 token과 cache를 localStorage에 저장해주는 Mut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제 프로젝트에서 Auth라는 page를 보여주고 있는 곳은 아래 코드입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ToastContainer } from "react-toastify";
import "react-toastify/dist/ReactToastify.css";
import GlobalStyles from "../Styles/GlobalStyles";
import styled, { ThemeProvider }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Theme from "../Styles/Theme";
import AppRouter from "./AppRouter";
import { gql } from "apollo-boost";
import { useQuery } from "react-apollo-hooks";
import Footer from "./Footer";

const QUERY = gql`
  {
    isLoggedIn @client
  }
`;

const Wrapper = styled.div`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justify-content: center;
  margin: auto;
  max-width: 935px;
  width: 100%;
  height: 100vh;
`;
export default () => {
  const {
    data: { isLoggedIn }
  } = useQuery(QUERY);
  return (
    <ThemeProvider theme={Theme}>
      <Wrapper>
        <GlobalStyles />
        <AppRouter isLoggedIn={isLoggedIn} />
        <Footer />
        <ToastContainer position={"bottom-left"} />
      </Wrapper>
    </ThemeProvider>
  );
};

App.js에서 isLoggedIn변수를 Query를 통해서 불러오고 있습니다. Query는 아래와 같이 @client에서 isLoggedin변수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const QUERY = gql`
  {
    isLoggedIn @client
  }
`;

그렇다면 isLoggedIn변수는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아봐야겠죠? 아래 코드를 보면 localStorage의 token이 존재하면 true 아니면 false를 리턴해주고 있습니다. 현재는 당연히 localStorage에 token이 없기 때문에 false를 리턴해줍니다.

Apollo/LocalState.js

export const defaults = {
  isLoggedIn: Boolean(localStorage.getItem("token")) || false
};

export const resolvers = {
  Mutation: {
    logUserIn: (_, { token }, { cache }) => {
      localStorage.setItem("token", token);
      cache.writeData({
        data: {
          isLoggedIn: true
        }
      });
      return null;
    },
    logUserOut: (_, __, { cache }) => {
      localStorage.removeItem("token");
      window.location.reload();
      return null;
    }
  }
};

그렇다면 false일 경우 <AppRouter>는 어떤 페이지를 보여질지 확인 해봐야겠죠?

import { HashRouter as Router, Route, Switch } from "react-router-dom";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Feed from "../Routes/Feed";
import Auth from "../Routes/Auth";
import PropType from "prop-types";
const LogedInRouter = () => (
  <>
    <Route exact path="/" component={Feed} />
  </>
);
const LogedOutRouter = () => (
  <>
    <Route exact path="/" component={Auth} />
  </>
);

const AppRouter = ({ isLoggedIn }) => (
  <Router>
    <Switch>{isLoggedIn ? <LogedInRouter /> : <LogedOutRouter />}</Switch>
  </Router>
);

AppRouter.prototype = {
  isLoggedIn: PropType.bool.isRequired
};

export default AppRouter;

  • logedInRouter : 로그인이 되어있을 경우 보여지는 Router 현재는 FeedComponent를 보여주고 있네요.
  • logedOutRouter :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 보여지는 Router 현재는 Auth Component를 보여주고 있어요.

  • AppRouter : isLoggedIn이라는 argument를 받아서 true일경우 logedInRouter false일경우 logedOutRouter를 보여줍니다. 정리를 해보자면

현재 localStorage에 token은 저장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isloggedIn = false false를 받은 <AppRouter>logedOutRouter를 경로로 보여줍니다. logedOutRouter는 Auth컴포넌트를 보여주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로그인, 회원가입, 인증을 하는 Auth를 보여주게 되겠죠.

자, 그러면 이 얘기를 왜 했느냐하면 비밀번호 인증까지 마쳤기 때문에 이제 로그인이 성공해서 Feed를 보여줘야합니다. 그렇다면 발급 받은 token을 LocalStorage에 넣어주면 isLoggedIn이 true가 될 것이고 AppRouter는 logedInRouter를 경로로 지정할 것입니다.

이것을 해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Query를 만든 방식과는 약간 다릅니다. 왜냐하면 client에서 LocalState에 만든 Mutation을 사용하기 때문이죠.
 


 

@Client Mutation사용하기

token도 얻었겠다. 예전에 만들었던 LocalState에 정의했던 Mutation만 사용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AuthQueries에 또 정의를 해야겠죠? 아래와 같이 정의해줍니다.
다른부분은 같지만 마지막에 @client를 사용하는 것이 다릅니다.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아마 client의 Mutation을 사용한다는 의미인것 같습니다. 개발은 직감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일단 넘어가고 나중에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export const LOCAL_LOG_IN = gql`
  mutation logUserIn($token: String!) {
    logUserIn(token: $token) @client
  }
`;
const logInMutation = useMutation(LOCAL_LOG_IN);

variables를 위에서 넣지 않고 여기서 넣은 이유는 token은 confirmSecret을 하기전까지 없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await logInMutation({ variables: { token } });
toast.success("Success confirm secret!! ");